본문 바로가기
2002호in정보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편입

by 2002호 2023. 4. 14.
반응형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방송통신대에 관한 글을 짧게 쓴 적이 있다. 

별생각 없이 작성한 글이었는데, 틈틈이 유입이 되어 들어오기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의외로 많은 것 같아서, 

글을 써보기로 한다.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우선 필자는 전문대(3년제)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방송통신대학교 3학년 유아교육과로 편입을 하고 졸업을 한  경우이다. 

목차

1. 나의 방송통신대학교 편입 계기
2.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후 방송통신대 입학하기
3. 방송통신대학교 학비
4. 방송통신대학교 사례
5.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난이도

1. 나의 방송통신대학교 편입 계기

나의 경우는 전문학사가 아니라 교육학사를 취득하고 싶다는 욕심으로 인해 결혼 후 방송통신대학교를 시작할 수 있었는데, 그때 유치원, 어린이집 둘 다 근무 경험도 있고 했었기 때문에,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편입을 해서 어렵지 않게(?)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주변에 방송통신대학교를 시작한 분이 많았었는데, 대부분은 보육교사 취득 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시던  분이 유치원 정교사를 취득하고 싶어서,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았고, 나의 경우처럼 전문대유아교육과를 졸업해서 교학사를 취득하고 싶어서, 방송통신대학교를 시작하는 분들도 있었다. 

2.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후 방송통신대 입학하기

보육교사만 가지고 있었는데, 정교사 취득을 위해서, 방송통신대학교를 선택한 분들이 제일 많다. 대면수업도 있고, 온라인수업도 있기 때문에 일을 하면서 하기란 쉽지 않다.  시험도 온라인 시험이 아니라, 주말을 이용하여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치르기 때문에, 일을 하면서 할 수 없는 수준은 아니지만, 몰입해서 공부하며 학점관리를 해야 한다. 더군다나 2학년으로 편입해야 하기 때문에 3년의 시간을 투자해서 학교를 다녀야 한다. 그래도 이 경우는 회사를 다니면서 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못할 정도는 아니다.  보육교사 취득 하고 있고, 더 빨리 졸업하고 싶다면, 일반 전문대에 편입을 하면 2학년으로 편입하면 2년만에 졸업을 할 수는 있다. 그러나 본인의 선택이 필요하다. 일을 하면서 3년을 공부하는 것과, 온전히 2년을 투자해야 하는 것을 골라야 한다면, 그것은 본인의 선택에 따라 결정하면 될 것 같다.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유아교육과의 꿈을 가지고 도전하는 분들도 뵌 적이 있는데, 1학년으로 입학하면 된다. 일을 하면서 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대면수업이 저녁이나 주말에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출석도 할 수 있고, 충분히 졸업할 수 있다.

3. 방송통신대학교 학비

학비의 경우는 나는 책값까지 하면  한 학기에 등록금, 책값 포함하여 50만 원 가까이 들었던 것 같다. 정확히 기억이 나지는 않는데, 일을 하면서 부담하는 금액이었고, 일반 대학을 다닐 때 한 학기에 몇백 단위를 썼던 것을 생각하면 못 쓸 돈이 아니었다. 

일반대학으로 입학하면 몇백만원의 학비가 들기 때문에 금액 때문이라도, 방송통신대학교를 다니는 것이 훨씬 매력적이다.

4. 방송통신대학교 사례

나는 실제로 30대 이후에 결혼 후에 대학을 다니는 분도 뵌 적이 있다. 전문대 졸업 후 전문대 유아교육과 2학년으로 편입을 한 분이었는데, 아이들 둘을 키우면서 공부에 집중해서 하시는 모습이 꽤나 열정적이어서 기억에 남는 분도 있다.

 나의 목표는 원래 방송통신대학교를 입학하면서 2년만에 졸업하기였는데, 결국 2년 6개월만에 졸업을 했다. 그래도. 빨리 졸업한 편이었다. 나의 지인은 유치원에 근무를 하면서 시작했는데, 4년 만에 졸업했다. 한학기하고 힘들어서 휴학하고 한 학기하고 또 힘들어서 휴학하고 계속 반복하다가 드디어 4년 만에 졸업을 한 사람도 있다. 그나마 그 경우는 다행이었다.  전문대 졸업 후 방송통신대학교를 들어가서 공부를 하다가, 막상 주경야독을 하는 게 힘들었는지, 하다가 포기하고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 이야기는 그만큼 방송통신대학교 공부가 쉽지 않다는 것을 이야기해 주고 싶다)

5.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난이도

특히 무시험검정으로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이수가 아니라 점수관리도 해야 한다. 내가 졸업할 때는 교직과목의 점수들이 평균 80점 이상이 되어야 했다. 내가 졸업한 지 10년이 훌쩍 넘었지만, 그 기준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듯하다. 설렁설렁해서는 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다. 가벼운 마음이 아니라 열심히 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시작해야 한다.(하지만, 유아교육과 졸업 하고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 못 하고 졸업하는 사람은 없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살펴보려면 아래에 있는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홈페이지 바로가기에 들어가서 편입 자격을 꼼꼼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검색해서 보다가 플래너활동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아서, 제대로 된 정보를 드리고 싶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궁금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자세히 답변드릴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대학교 안내

728x90
반응형